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

전통공연예술 청년 성장동력 지원

전통공연예술 청년예술가의 안정적인 예술시장 진입과 전문예술가 인재육성을 위한 전문 아카데미를 운영합니다.

 

기악, 한국무용 전문예술가로 성장하기 위한 창제작 능력 및 공연제작 능력 개발을 지원합니다.
작품의 상품화와 콘텐츠 제작, 저작권 확보 등 문화예술시장 타깃형 훈련교육을 실시합니다.

공모전통공연예술 청년 성장동력 지원

  • 기획·개발 분야 : 5월 중 공고 / 교육과정별 상이
  • 제작·생산 분야 : 7~8월 중 공고 / 교육과정별 상이

교육국악문화산업 전문가양성 아카데미

  • 기획·개발 분야
    - 국악문화산업의 기초단계 예술가를 대상으로 교육형 전문과정 운영

좌우로 밀어보세요

기획·개발 분야 전문과정 - 교육과정, 내용 정보 제공
교육과정 내용
작품창작(기악) 앙상블, 타장르의 이해, 화성학, 작품컨셉팅, 레코딩이해 등
작품창작(한국무용) 창작무 기본, 지역특화작품 활용, 타장르의 이해 등
공연기획 공연예술 트렌드, 공연기획포인트, 공연제작 단계별 과정 등
Art & Technology SNS 활용, 1인 크리에이터, 문화예술 신기술 등
  • 4월~8월, 총 32강(강좌당 8강), 1주 2회 강의, 총 16주 운영
  • 제작·생산 분야
    - 국악문화산업의 시장활동형 예술가를 대상으로 훈련형 전문과정 운영

좌우로 밀어보세요

제작·생산 분야 전문과정 - 교육과정, 내용 정보 제공
교육과정 내용
작품의 상품화 순수예술의 시장상품화, 음반기획, 작품마케팅, 플랫폼활용
콘텐츠 제작 음원제작, 영상제작, 공연장시스템, 뉴미디어 활용
시장진출 저작권 확보, 문화예술의 홍보·마케팅, 해외 진출(페스티벌포함)
  • 7월~10월, 총 24강(강좌당 8강), 1주 2회 강의, 총 12주 운영
  • 국악문화산업 초청 특강
    - 국악문화산업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해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, 직간접 산업군별 전문가를 통해 4일간의 교육 운영

좌우로 밀어보세요

국악문화산업 초청 특강 - 구분, 직접산업(국악문화산업 분류별), 간접산업(국악연계가능 산업) 정보 제공
구분 직접산업
(국악문화산업 분류별)
간접산업
(국악연계가능 산업)
일정 6. 10.(화)~11.(수) 6. 12.(목)~13.(금)
특강
내용
국악공연·교육·음원·영상 분야
(제작, 홍보, 해외진출 과정 등)
방송·영화·게임·국악×신기술
(국악관련 니즈, 확장 가능성 등)
세부
내용
6. 10.(화) 국악콘텐츠 시장 및 트랜드 분석 6. 12.(목) 국악을 활용한 연계산업 모색
6. 11.(수) k컬처를 통한 국악의 활성화 6. 13.(금) 국악의 고도화 : 국악×신기술
  • 모든 프로그램은 운용 과정 중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음

담당부서 : 인재육성팀 070-8893-477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