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통을 만나는 시간, 당신은 좀 더 풍요로워집니다.
예술로 표현하는 삶의 이야기, 전통공연예술문화학교
1988년 시작된 전통공연예술문화학교는 현재 100여 개의 다양한 전통예술 과목을 배울 수 있는 실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세분화된 단계별 과정으로 초보과정부터 심화과정까지 수강생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수업을 제공합니다.
문화학교 수강생 중 맺음과정과 특별과정, 심화과정의 수강생은 수료발표회를 통해 무대에서 공연하는 특별한 시간도 있습니다.
교육과정별 수강기간 및 교육시간
좌우로 밀어보세요
교육과정 | 교육대상 | 교육기간 | |
---|---|---|---|
일반과정 | 디딤과정 | 처음 국악을 접하는 분들을 위한 입문자 과정 |
|
돋음과정 | 문화학교 디딤과정 수료자 또는 타 기관에서 기초를 다진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정 | ||
맺음과정 | 문화학교 돋움과정 수료자 또는 타 기관 3년 이상 수강 경력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과정 * 수료발표 참여 가능 |
||
특별과정 | 특별과정 | 문화학교 맺음과정 수료자 또는 타 기관 5년 이상 수강 경력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과정 * 수료발표 참여가능 |
|
심화과정 | 문화학교 맺음과정 수료자 또는 타 기관 5년 이상 수강 경력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과정 * 수료발표회 참여가능 |
|
Q&A
문화학교 Q&A
A
전통공연예술 문화학교 등록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.
인터넷 신청 |
|
---|---|
방문 신청 | 수강신청서 작성 후 결제(카드, 현금, 무통장 입금) |
※ 수강신청서 작성 후 입금을 하지 않을 경우 등록처리가 되지 않습니다.
A
장구반 : 민요, 악기연주, 무용 등의 반주에 사용되는 장단 교육
사물놀이반 : 풍물장단 교육
A
악기 : 가야금, 거문고, 해금, 장구 등의 악기는 강습실에 비치되어 있습니다. 대금, 단소 등 관악기와 장구채, 북채 등 소도구는 수강생이이 준비해야 합니다.
교재 : 가야금, 거문고, 대금, 단소, 해금, 교재는 사무실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. 무용 과목은 별도의 교재가 없으며, 간편한 복장(덧버선이나 면양말) 착용이 필요합니다.
A
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이사장 명의의 수료증을 발급합니다.
※ 본 수료증은 소정의 교육과정을 이수하였다는 증명이며, 그 외 기타 효력이 없습니다.
A
공정거래위원회 고시 소비자분쟁 해결기준에 의거 환불조치 가능합니다.
- 수업시작 전 : 전액 환불
- 수업시작 후 : 연 회비를 주 단위로 계산하여, 잔여 주 환산금액에서 등록비의 10%를 공제 후 환불
- 잔여 수강기간이 1/3 미만일 경우, 등록/변경/취소 불가
※ 환불신청서 양식은 자료실 - 서식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.
A
주차스티커 발급 후 국립국악원 내 무료주차가 가능하나, 주차 수요에 비해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2부제로 운영됩니다.
(2부제 : 홀수 날 차량번호 끝자리가 짝수인 차량 주차 가능, 짝수 날 차량번호 끝자리가 홀수인 차량 주차 가능)
※ 주차공간이 매우 협소합니다. 특히 공연이 있을 시 행사 차량으로 인해 주차가 불가할 수 있습니다.
※ 예술의 전당이나 한국예술종합학교 주차장은 ‘유료’이며, 국립국악원 주차장과 별도로 운영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※ 이외의 문의 사항은 카톡에서 전통공연예술문화학교 채널 추가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