□ 국립국악원(원장 직무대리 강대금)은 깊어가는 여름밤 열기를 시원하게 식혀 줄 ‘2025 우면산 별밤축제’를 오는 8월 23일(토)부터 9월 20일(토)까지 매주 토요일 저녁 8시 국립국악원 연희마당에서 개최한다.
□ 도심 속 여름밤의 낭만을 전통음악으로 물들이며 바쁜 일상 속 쉼표 같은 시간을 선사한 우면산 별밤축제는 매년 악(樂)·가(歌)·무(舞)·기예(技藝), 종합예술의 결정체인 연희부터 창작국악까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.
□ 2025 우면산 별밤축제는 탄탄한 음악성과 대중성을 가진 단체들이 출연해 바쁜 일상에 지친 관객에게 위로와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. 올해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창작연희극, 국악관현악부터 더위를 날려줄 연희와 서울 굿 그리고 전통의 감성과 현대적 감각이 공존하는 국악 쇼케이스 무대로 꾸며진다.
어흥, 무등산호랑이가 우면산에 나타났다! - 사단법인 전통연희놀이연구소
□ 2025년 우면산 별밤축제의 첫 무대(8.23.)는 광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단법인 전통연희놀이연구소의 창작연희극 ‘개똥이와 무등산호랑이’로 관객들을 만난다. 무등산에 사는 무등산호랑이와 개똥이가 우면산까지 찾아온 좌충우돌 이야기와 관객과 함께 즐길 수 있는 관객 체험형 공연으로 연희마당을 채운다.
귀뚜르르, 가을아 어서와! - 국립국악원 창작악단
□ 2회차(8.30.) 공연은 국립국악원 창작악단과 세련된 소리와 깊은 감성을 지닌 고영열이 만난다. 고영열은 판소리 <춘향가> 중 ‘사랑가’와 ‘신뱃노래’를 선보인다. 한여름 밤 별빛 아래 국악관현악 선율과 그의 중저음 음색의 조화가 기대되는 관전 포인트이다. 이에 더해, 야외에 어울리는 창작악단의 고유 레퍼토리를 만나볼 수 있고, 2025 우면산 별밤축제를 관객들을 위해 준비한 세계팝기행은 공연 분위기를 한껏 고취할 것으로 보인다.
우리 선조들의 여름 축제인 백중맞이, 연희(人)-판 –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연희부
□ 3회차(9.6.) 공연은 백중을 맞이하여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연희부가 악(樂)·가(歌)·무(舞)·기예(技藝)가 포함한 연희 한 판을 선보인다. 사자놀이, 무을북놀이 등 우리나라 각 지역을 대표하는 연희와 경기·서도·남도민요, 연주자의 고도의 음악적 기능과 기량을 동시에 요구하는 판굿 등 드넓은 연희마당에서 펼쳐지는 진정한 ‘판’의 정신을 관객과 함께 나눌 예정이다.
오늘과 내일을 연결하는, THE NEXT – 김무빈×소리맵시×윤세연
□ 4회차(9.13.) 공연에서는 민요의 새 지평을 열어가고 있는 김무빈, 소리맵시, 윤세연의 요즘 국악을 만난다. 서도민요 ‘몽금포타령’, 판소리 <흥보가> 중 ‘박타령’, 경기민요 ‘태평가’가 유니크하고 개성있는 그들의 목소리로 재탄생한다. 국악의 오늘과 내일을 연결하고 있는 김무빈, 소리맵시, 윤세연이 들려주는 요즘 국악, 전통과 대중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인 무대를 선보인다.
서울 굿 한판, 굿(GOOD) for YOU – 강효주×채수현×성슬기, 국립국악원 민속악단
□ 2025 우면산 별밤축제 마지막을 장식할 무대는 서울 굿이다. 9월의 끝자락에 흥겨운 굿 한판으로 우면산 별밤축제를 찾아준 관객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한다. 국가무형유산 경기민요 이수자인 강효주 교수와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채수현 부수석 단원과 성슬기 단원의 맑고 깨끗한 소리가 더욱 기대를 높인다.
잔디광장에서 펼쳐지는 즐길거리! 먹을거리!
□ 본 공연에 앞서 오후 4시부터 국립국악원 잔디광장에서는 감성을 더한 특별한 즐길거리가 마련된다. 전통매듭체험(17:00~19:00), 오물조물 만들기 체험, 포토부스 등이 운영된다. 다양한 메뉴의 푸드트럭도 함께 운영되어 축제를 더욱 즐겁고 풍성하게 즐길 수 있다.
□ 2025 우면산 별밤축제는 오는 8월 23일(토)부터 9월 20일(토)까지 매주 토요일 저녁 8시, 국립국악원 연희마당에서 펼쳐지며 놀티켓 누리집(nol.interpark.com/ticket)에서 예매가 가능하다. (전석 1만원, 균일가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