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1 아리랑 등 전통문화 확산 <전통예술 켄템퍼러리 창작지원> 공연기획안 공모 |
(재)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에서는 전통예술의 현대적 계승 및 대중 확산을 위한 전통예술 컨템퍼러리 공연기획안을 공모합니다.
전통예술의 새로운 전형을 만들어가고자 하는 자유롭고 창의적인 예술가, 예술단체의 많은 지원 바랍니다.
2021년 3월 22일
(재)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이사장 정 성 숙
□ 사업개요
ㅇ (사업명) 전통예술 컨템퍼러리 창작지원
ㅇ (사업기간) 2021. 2월~12월
ㅇ (사업목적) 전통예술의 현대적 계승 및 대중 확산을 위한 컨템퍼러리 공연기획안 공모 및 작품 제작 지원
ㅇ (추진방식) 최대 3년간 단계별(기획, 제작, 공연) 연속지원
* 기획안 공모(1차년도) → 작품 제작 지원(2차년도) → 공연지원(3차년도)
ㅇ (추진일정)
일정 | 주요내용 |
3월~4월 | 공모사업 공고, 지원신청 및 접수 |
4월~5월 | 심사(1차 서류심사, 2차 면접심사) |
5월 | 사업설명회 |
5월~10월 | 작품 제작 및 진행점검 |
11월 | 중간 발표 심사 |
12월 | 연속지원 결과발표 |
※ 상기 일정은 진행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
□ 공모개요
ㅇ (공모명) <전통예술 컨템퍼러리 창작지원> 공연기획안 공모
ㅇ (공모내용) 전통예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공연기획안
- 장르 및 형식 무관 창작 공연콘텐츠(미발표 신작) 기획안
- 대중적인 공연콘텐츠로 지속 활용 가능한 공연기획안
* 선정된 공연기획안은 과정별 심사를 통해 작품 제작 및 공연지원
ㅇ (공모대상) 사업수행이 가능한 예술가 및 예술단체
ㅇ (지원규모) 작품당 500만원 정액(세금포함) / 총 4개 작품 내 선정
- 공연기획비 및 중간발표를 위한 비용 일체
* 기획료, 전문가(작곡, 작가 등) 및 출연자 사례, 제작물(의상, 무대, 소품 등), 보험 및 세금(예술인 고용보험, 이행보증보험 등), 기타 제반 비용 등 중간발표를 위한 필요비용
- 중간발표 장소(전통공연창작마루) 및 장비(무대, 음향, 조명 등) 공통지원
ㅇ (지급조건) 계약 및 공연기획서 제출 후 14일 이내 100%
* 선정 예술가/예술단체는 5월 중 사업설명회 1회, 11월 중 중간발표 1회 필수 참석
* 중간발표를 하지 않는 경우 선정 취소 및 지원금액 환수
□ 신청자격 및 제외대상
ㅇ (신청자격) 미발표 신작 공연기획안을 보유한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
- 신청 주체의 기존 활동 장르 및 분야, 기획공연의 장르 및 형태 무관
- 단체의 경우 사업자등록증 보유 필수(고유번호증 접수 불가)
ㅇ (제외대상)
- 지방자치단체, 국·공립단체(문화재단 등)와 그 소속단체
- 국가 또는 지방 무형문화재 지정단체
- 동일 작품으로 국고보조금 또는 기금을 지원받는 경우
□ 선정심사
ㅇ (기본방침) 외부전문가가 과반 이상 참여하는 심사위원회(3~5인 내외) 구성 및 심사지표, 수행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출연단체 선정
* 서류심사(1차) : 공모신청서, 공연기획서 등 제출 자료 심사
* 면접심사(2차) : 발표 및 질의응답
ㅇ (심사지표) 공연계획의 타당성, 대중성, 지속가능성 중점 심사
심사기준 | 심사내용 | 배점 |
사업 이해도 및 목표의 구체성 | - 전통예술을 모티브로 동시대성을 지녔는가? | 10점 |
공연계획의 충실성 | - 공연계획이 타당성을 갖추고 있는가? | 30점 |
작품의 창의성 및 대중성 | - 동시대 전통예술 창작공연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가? | 30점 |
작품의 파급효과 | - 전통예술 대중 확산 및 전통예술 활용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가? | 20점 |
활동경력 및 기타사항 | - 참여예술가의 활동경력이 우수한가? | 10점 |
※ 제출서류 미비 또는 허위 기제시 사전 통보 없이 심사대상에서 제외 |
□ 중간발표
ㅇ (발표일시/장소) 2021. 11월 초 / 전통공연창작마루 예정
ㅇ (발표내용) 기획안을 토대로 한 공연의 제작현황 발표
* 발표 방식 무관(쇼케이스, 낭독공연, 프레젠테이션 등) 30분 내외
* 계획 대비 창작 준비 과정 및 작품의 완성도를 가늠할 수 있는 수준의 발표
ㅇ (발표심사) 2차년도(’22년) 연속지원(공연 제작 지원) 여부 결정을 위한 평가
- 평가대상 : 공연기획안 공모 선정 4개 작품
- 발표평가 : 발표(30분), 질의응답(30분) / 비공개 진행
* 분야별 전문가로 심사위원회(3~5인) 구성(심사 연속성 감안, 기획안 공모 심사위원 일부 포함)
- 심사지표
* 심사지표에 따른 각 위원별 합산 평점 방식을 통해 최종 2개 작품 이내 선정
심사기준 | 심사내용 | 배점 |
과정의 충실성 | - 계획 대비 창작과정이 충실하게 수행되고 있는가? - 사업 기간 내 제사한 목표는 실현 가능한가? | 30점 |
작품의 발전 가능성 | - 완성도 있는 작품으로 사업 기간 내 무대화가 가능한가? | 40점 |
작품의 지속가능성 | - 해당 작품이 공연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가? | 30점 |
ㅇ (최종 결과발표) 2021. 12월 중
ㅇ (공연 제작 지원) ‘22년 사업 기간 중
- 공연기획안을 토대로 본공연 제작 지원(작품당 최대 2,000만원)
- ’22년 11월 중 <문밖의 사람들 : 門外漢>에서 정규공연 발표
- 현장 평가를 통한 3차년도(‘23년) 추가 공연지원(4,000만원 내/1건)
※ <문밖의 사람들 : 門外漢> 공모 선정작 [상세내용 붙임참조] · (2020년) Sigh to Sigh ▶ ‘21년도 공연 예정 |
□ 추진일정
ㅇ 공고기간 : 2021. 3. 22(월) ~ 4. 23(금)
ㅇ 접수기간 : 2021. 4. 19(월) ~ 4. 23(금) 17시까지 ※5일간
ㅇ 서류심사(1차) : 2021. 4. 28(수) 예정
ㅇ 면접심사(2차) : 2021. 5. 6(목) 예정
ㅇ 결과발표 : 2021. 5. 7(금) 예정
ㅇ 중간발표 : 2021. 11월 초 예정
ㅇ 연속지원 최종 결과발표 : 2021. 12월 중 예정
□ 접수안내
ㅇ (제출서류)
서류 항목 | 내용 |
필수 | 1. 지원신청서(공연기획안 등) 1부(양식 참조) 2. 사업자등록증 1부(개인의 경우 해당 없음) |
선택 | 1. 활동 증빙자료(3년 이내) |
ㅇ (접수방법 및 접수처) 이메일접수 (apply@kotpa.org)
※ 지원신청 시 메일 제목 : [컨템퍼러리 창작지원] - 단체명(성명) |
□ 문의처
ㅇ (재)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대외협력팀 02-580-3276
- 평일 9:00~17:00(점심시간 12:00~13:00 및 주말, 공휴일 제외)